kotlin3 [Android/안드로이드] WebView(웹뷰)를 이용한 간단한 예제 with. Kotlin WebView WebView(웹뷰)란 프레임워크에 내장된 웹 브라우저 컴포넌트로 View(뷰)의 형태로 앱에 임베딩 하는 것 즉, WebView(웹뷰)는 앱 내에 웹 브라우저를 넣는 것 일단 WebView를 사용하는 기본적인 방법부터 정리하자면, 아래의 순서와 같다. 1. build.gradle에 viewBinding 설정해준다. buildFeatures { viewBinding true } 2. AndroidManifest.xml에 인터넷 퍼미션 추가 3. xml에 webview영역 선언 4. MainActivity에서 Webview 선언 override fun onCreate(savedInstanceState: Bundle?) { super.onCreate(savedInstanceState) val .. 2024. 4. 4. 1. [Kotlin/코틀린] 코틀린 변수(val, var) 선언 및 초기화 Java에서는 변수를 선언 할 때 [타입][변수명] = [값]이 기본 구조이며, 프로그래밍으로는 다음과 같이 표현한다. int num = 10 Kotlin은 변수 선언시 val, var 두 가지 키워드를 사용하여 선언할 수 있다. 💡 val (value) : 변하지 않는 상수 💡 var (variable) : 가변 변수 Kotlin은 컴파일러가 변수의 인자값 정보를 사용하여 변수의 타입을 자동으로 찾을 수 있기 때문에 변수를 초기화 할 때 변수의 타입을 명시적으로 꼭 선언하지 않아도 된다. 해당 내용은 아래 포스팅에도 설명되어져 있다. (2022.11.05 - [Kotlin] - 0. [Kotlin/코틀린] 코틀린 특징에 대해서) 1. val val은 읽기 전용 변수를 가르키는 키워드다. val 변수는 .. 2022. 11. 5. 0. [Kotlin/코틀린] 코틀린 특징에 대해서 안드로이드의 개발이 자바에서 코틀린으로 많이 바뀌고 있는 시점이다. (꽤 오래전부터😅) 그래서 나도 더 늦기전에 코틀린에 대해서 기본적인 문법을 공부할 계획이다. 언어를 배우기 전에 언어의 특징을 아는 것 또한 중요하다고 생각한다. 그래서 코틀린의 특징이 무엇이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. Kotlin - 2011년에 발표되었고, 2017년 구글에서 안드로이드 공식언어로 채택 Kotlin 주요 특징 1. 정적 타입 지정 언어 Kotlin은 정적 타입 지정 언어이다. 정적 타입 지정이라는 의미는 컴파일 시 변수의 타입이 결정되는 언어를 말하는데, Java와 다른 점은 Kotlin은 컴파일러가 문맥으로부터 변수 타입을 자동으로 유출할 수 있다. 그렇기 때문에 타입 선언을 생략 가능(타입 추론)하기 때문에 프로그.. 2022. 11. 5. 이전 1 다음