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Kotlin4

3. [Kotlin/코틀린] 코틀린 함수 - Function 💡함수 Kotlin에서 함수를 선언할 때 fun 키워드를 사용하며, Unit은 Java에서 void와 같다. return값이 없는 함수를 작성할 때 사용한다. return값이 있는 함수는 Unit대신에 리턴값의 타입을 적어준다. //Kotlin 함수의 기본 형태 //리턴값이 없는 함수 fun 함수명(변수) : Unit{ 실행문 } //리턴값이 있는 함수 fun 함수명(변수) : 리턴타입 { 실행문 return 값 } 1. 일반적인 사용법 //일반적인 함수 사용법 // return 값이 존재하는 경우 fun sum(a: Int, b: Int) : Int { var c = a+b return c } //return값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fun sum(a: Int, b: Int) : Unit { var c .. 2022. 11. 17.
2. [Kotlin/코틀린] 코틀린 제어문 - if, when, for, while 💡 제어문 제어문은 반복문과 조건문을 얘기한다. Kotlin의 제어문은 크게 if문, when문, for문, while문으로 구분된다. 1. if Java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. (if, if-else if- else) Kotlin에서 if문 하나의 표현식으로 간주하여 값을 반환한다. 변수의 대입문에 식처럼 사용이 가능하다. 즉, 조건에 따른 결과를 변수에 저장할 수 있다. //a와 b 값을 비교해서 //a가 클 경우 result에 a를 대입 //그렇지 않을 경우 result에 b를 대입 var result = if(a > b){ a } else { b } // 위의 소스를 한 줄로 나타낼 수 있다. var result = if(a > b) a else b // 여러 줄도 가능하다. var res.. 2022. 11. 16.
1. [Kotlin/코틀린] 코틀린 변수(val, var) 선언 및 초기화 Java에서는 변수를 선언 할 때 [타입][변수명] = [값]이 기본 구조이며, 프로그래밍으로는 다음과 같이 표현한다. int num = 10 Kotlin은 변수 선언시 val, var 두 가지 키워드를 사용하여 선언할 수 있다. 💡 val (value) : 변하지 않는 상수 💡 var (variable) : 가변 변수 Kotlin은 컴파일러가 변수의 인자값 정보를 사용하여 변수의 타입을 자동으로 찾을 수 있기 때문에 변수를 초기화 할 때 변수의 타입을 명시적으로 꼭 선언하지 않아도 된다. 해당 내용은 아래 포스팅에도 설명되어져 있다. (2022.11.05 - [Kotlin] - 0. [Kotlin/코틀린] 코틀린 특징에 대해서) 1. val val은 읽기 전용 변수를 가르키는 키워드다. val 변수는 .. 2022. 11. 5.
0. [Kotlin/코틀린] 코틀린 특징에 대해서 안드로이드의 개발이 자바에서 코틀린으로 많이 바뀌고 있는 시점이다. (꽤 오래전부터😅) 그래서 나도 더 늦기전에 코틀린에 대해서 기본적인 문법을 공부할 계획이다. 언어를 배우기 전에 언어의 특징을 아는 것 또한 중요하다고 생각한다. 그래서 코틀린의 특징이 무엇이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. Kotlin - 2011년에 발표되었고, 2017년 구글에서 안드로이드 공식언어로 채택 Kotlin 주요 특징 1. 정적 타입 지정 언어 Kotlin은 정적 타입 지정 언어이다. 정적 타입 지정이라는 의미는 컴파일 시 변수의 타입이 결정되는 언어를 말하는데, Java와 다른 점은 Kotlin은 컴파일러가 문맥으로부터 변수 타입을 자동으로 유출할 수 있다. 그렇기 때문에 타입 선언을 생략 가능(타입 추론)하기 때문에 프로그.. 2022. 11. 5.